리투아니아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외교 정책의 기본 방향을 결정하고, 국방 및 안보 분야에서 상당한 권한을 행사하며, 내치에서도 의회, 사법부와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대통령은 국민 직선으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 1992년 헌법에 따라 결선투표제를 통해 선출되며, 40세 이상, 리투아니아 거주 3년 이상, 의원 입후보 자격을 갖춘 자가 후보가 될 수 있다. 대통령이 재임 중 사망하거나 임무 수행이 불가능할 경우, 의회의장이 권한을 대행한다. 리투아니아는 1918년 독립 이후 여러 명의 대통령을 거쳤으며, 현재 기타나스 나우세다가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의 대통령 - 기타나스 나우세다
기타나스 나우세다는 2019년과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리투아니아 대통령으로 재임 중인 경제학자 출신 정치인으로, 우크라이나 지지 및 유럽 연합 협력 외교 정책 추진, 과거 소련 공산당 가입 경력과 정책적 입장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리투아니아의 대통령 - 롤란다스 팍사스
롤란다스 팍사스는 리투아니아의 정치인이자 전직 곡예 비행사로,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탄핵되었으며, 곡예 비행 국가대표, 빌뉴스 시장, 총리를 역임한 후 질서와 정의당을 창당했으나 러시아 사업가와의 연루 의혹으로 탄핵되어 유럽 최초로 탄핵된 국가 원수가 되었다. - 대통령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 대외 정책 결정, 법률 공포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 대통령 목록 - 이탈리아의 대통령
이탈리아 대통령은 의회 양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원수로서, 7년 임기 동안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 입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 및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투아니아의 대통령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대통령 |
소속 국가 | 리투아니아 |
임기 시작 | 2019년 7월 12일 |
유형 | 집행 대통령 국가 원수 |
스타일 | 대통령 (비공식) 각하 (외교) 최고사령관 (군사) |
구성원 | 유럽연합 정상회의 |
관저 | 빌뉴스 대통령궁 |
선출 방식 | 직접 선거 |
임기 | 5년, 1회 연임 가능 |
폐지 | 1940–1990년 |
초대 대통령 | 안타나스 스메토나 |
부통령 | 의회 의장 |
급여 | 119,460 유로 (연간, 세전) |
웹사이트 | www.lrp.lt |
![]() | |
![]() | |
현직 | |
현직 대통령 | 기타나스 나우세다 |
정치 | |
지명자 | 직접 선거 |
역사 | |
창설일 | 1919년 4월 4일 |
폐지일 | 1940–1990년 |
2. 권한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외교 및 안보 분야에서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하며, 내치에서도 의회 및 사법부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다.[12]
2. 1. 외교 및 안보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외교 정책의 기본 지침을 결정하고, 외국 대사의 신임장을 접수하며, 조약에 서명하는 등 국가 원수로서의 외교적 권한을 행사한다.[3] 리투아니아군의 최고사령관으로서 국방위원회를 주재하고 국방참모총장을 임명한다. 단, 국방참모총장 임명에는 세이마스의 동의가 필요하다.[3]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이웃 국가인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대통령에 비해 다소 더 많은 행정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프랑스 및 루마니아 대통령의 기능과 매우 유사하다.[3]2. 2. 내치
대통령은 의회에 법안을 제출하고, 의회를 통과한 법안에 대해 거부할 수 있다.[13] 총리를 임명하고 총리가 구성한 정부를 승인한다.[13] 의회에서 정부에 대한 불신임안이 통과되거나 정부 예산을 60일 안에 승인하지 않으면 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선거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조기 선거로 구성된 의회는 조기 대통령 선거를 실시함으로써 보복할 수 있다.[13]또한 헌법재판관 3분의 1과 대법관 전부를 지명할 수 있으나 임명은 의회가 한다.[13] 그 밖의 모든 판사는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다.
2. 3. 사법부
헌법재판관 3분의 1과 대법관 전부를 지명할 수 있으나, 최종 임명은 의회가 한다.[13] 그 밖의 모든 판사는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다.3. 선출
1992년 리투아니아 헌법에 따라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5년 임기의 국민 직선제로 선출되며, 수정된 결선투표제를 통해 선출된다.[14] 대통령은 취임 시 정당 활동을 중단해야 한다.[4]
3. 1. 1차 투표
1992년 리투아니아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수정된 결선투표제로 선출된다. 한 후보가 투표에서 과반수를 득표하고 투표율이 50% 이상이거나, 등록 유권자 수의 3분의 1 이상을 득표하면 1차 투표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된다.[14]3. 2. 결선 투표
1992년에 제정된 리투아니아 헌법에 따르면, 1차 투표에서 당선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2주 후 최다 득표자와 차점자를 대상으로 결선 투표를 실시한다.[13] 1차 투표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기 위해서는 투표율 50% 이상에서 과반을 득표하거나, 등록 유권자 수의 3분의 1 이상을 득표해야 한다.[14]3. 3. 후보 자격
후보는 투표일 기준 만 40세 이상이어야 하며, 리투아니아에 3년 이상 거주해야 한다. 또한 의원 입후보 자격을 충족해야 한다. 헌법이나 취임 선서 위반으로 탄핵된 자는 출마할 수 없다.[15]3. 4. 대통령 권한 대행
대통령이 재임 중 사망하거나 임무 수행이 불가능해지면, 새 대통령이 선출될 때까지 의회의장이 권한을 대행한다.[14]4. 역대 대통령 목록
리투아니아는 1918년 독립 이후 여러 차례 정치 체제 변화를 겪었으며, 이에 따라 대통령의 역할과 권한도 변화해 왔다.
# | 이름 | 이미지 | 취임 | 퇴임 | 정당 | 비고 |
---|---|---|---|---|---|---|
1 | 안타나스 스메토나 | ![]() | 1919년 4월 4일 | 1920년 6월 19일 |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연합 | 초대 대통령 |
2 |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 ![]() | 1920년 6월 19일 | 1926년 6월 7일 | 무소속 | 1920년부터 1922년까지 대통령 권한 대행 |
3 | 카지스 그리뉴스 | ![]() | 1926년 6월 7일 | 1926년 12월 17일 | 리투아니아 농부 인민 연합 | 쿠데타로 실각 |
4 | 안타나스 스메토나 | 1926년 12월 19일 | 1940년 6월 15일 |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연합 | 쿠데타 이후 재집권 | |
1940년부터 1990년까지 소련에 점령되어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편입되면서 대통령직은 폐지되었다. 요나스 제마이티스-비타우타스와 아돌파스 라마나우스카스-바나가스는 사후에 대통령 권한 대행으로 인정받았다. | ||||||
5 | 알기르다스 브라자우스카스 | ![]() |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5일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 독립 회복 후 최초의 직접 선출 대통령, 1992년 11월 25일부터 대통령 권한 대행 역임 |
6 | 발다스 아담쿠스 | ![]() | 1998년 2월 26일 | 2003년 2월 26일 | 무소속 | |
7 | 롤란다스 팍사스 | ![]() | 2003년 2월 26일 | 2004년 4월 6일 | 질서와 정의 | 탄핵으로 해임 |
- | 아르투라스 파울라우스카스 | ![]() | 2004년 4월 6일 | 2004년 7월 12일 | 신 동맹 | 대통령 권한 대행 (세이마스 의장) |
8 | 발다스 아담쿠스 | 2004년 7월 12일 | 2009년 7월 12일 | 무소속 | 재선 | |
9 |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 ![]() | 2009년 7월 12일 | 2019년 7월 12일 | 무소속 | 리투아니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자 최초로 재선에 성공 |
10 | 기타나스 나우세다 | ![]() | 2019년 7월 12일 | 현재 | 무소속 |
4. 1. 1918년-1940년 리투아니아 공화국
Respublika Lietuvalt 시기(1918년-1940년) 리투아니아의 대통령은 다음과 같다.대 | 이름 | 이미지 | 취임 | 퇴임 | 정당 |
---|---|---|---|---|---|
1 | 안타나스 스메토나 | 1919년 4월 4일 | 1920년 6월 19일 |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연합 | |
2 |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 1920년 6월 19일 | 1926년 6월 7일 | 무소속 | |
3 | 카지스 그리뉴스 | 1926년 6월 7일 | 1926년 12월 17일 | 리투아니아 농부 인민 연합 | |
4 | 안타나스 스메토나 | 1926년 12월 19일 | 1940년 6월 15일 |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연합 |
- 초대 대통령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연합 소속으로 1919년부터 1920년까지 재임했다.
-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는 1920년부터 1922년까지 대통령 권한 대행을, 1922년부터 1926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다.
- 카지스 그리뉴스 대통령은 1926년 짧은 기간 재임 후 쿠데타로 실각했다.
-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1926년 쿠데타 이후 1940년 소련 점령 전까지 다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4. 2. 1940년-1990년 소련 점령기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Литовск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으로 편입되면서 대통령직은 폐지되었다.[1] 이후 소련 붕괴 직전까지 리투아니아는 소련의 지배를 받았다.[1]요나스 제마이티스-비타우타스와 아돌파스 라마나우스카스-바나가스는 사후에 대통령 권한 대행으로 인정받았다.[1]
4. 3. 1990년 독립 회복 이후
1990년 독립 회복 이후 리투아니아 대통령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이름 | 이미지 | 취임 | 퇴임 | 정당 | 비고 |
---|---|---|---|---|---|---|
5 | 알기르다스 브라자우스카스 |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5일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 독립 회복 후 최초의 직접 선출 대통령. 1992년 11월 25일부터 1993년 2월 25일까지 대통령 권한 대행 역임. | |
6 | 발다스 아담쿠스 | 1998년 2월 26일 | 2003년 2월 26일 | 무소속 | ||
7 | 롤란다스 팍사스 | 2003년 2월 26일 | 2004년 4월 6일 | 질서와 정의 | 탄핵으로 해임됨. | |
- | 아르투라스 파울라우스카스 | 2004년 4월 6일 | 2004년 7월 12일 | 신 동맹 | 대통령 권한 대행 (세이마스 의장) | |
8 | 발다스 아담쿠스 | -- | 2004년 7월 12일 | 2009년 7월 12일 | 무소속 | 재선 |
9 |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 2009년 7월 12일 | 2019년 7월 12일 | 무소속 | 리투아니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자 최초로 재선에 성공한 대통령. | |
10 | 기타나스 나우세다 | 2019년 7월 12일 | 현재 | 무소속 |
롤란다스 팍사스는 질서와 정의(구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자유주의 성향의 정당 출신 대통령이다. 다른 대통령들은 대부분 무소속이거나 중도 성향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NFORMACIJA APIE DARBO UŽMOKESTĮ Valstybės tarnautojų ir darbuotojų, dirbančių pagal darbo sutartis, vidutinis nustatytasis (paskirtasis) darbo užmokestis
https://www.lrp.lt/d[...]
[2]
웹사이트
Law on Presidential Elections
http://www3.lrs.lt/p[...]
The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07-31
[3]
웹사이트
Presidential Functions
https://www.lrp.lt/e[...]
[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 Seimas site
https://e-seimas.lrs[...]
[5]
IFES
Lithuania: Election for President
http://www.electiong[...]
[6]
웹사이트
2023 metų biudžetas: kiek „į rankas“ gaus pensininkas, mokytojas, prezidentas
https://www.15min.lt[...]
2023-08-02
[7]
웹사이트
Presidential Functions
https://www.lrp.lt/e[...]
[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 Seimas site
https://e-seimas.lrs[...]
[9]
IFES
Lithuania: Election for President
http://www.electiong[...]
[10]
문서
没後の2009年3月、リトアニア国会が「リトアニア共和国大統領」の称号を授与。
[11]
웹인용
INFORMACIJA APIE DARBO UŽMOKESTĮ Valstybės tarnautojų ir darbuotojų, dirbančių pagal darbo sutartis, vidutinis nustatytasis (paskirtasis) darbo užmokestis
https://www.lrp.lt/d[...]
[12]
웹사이트
Presidential Functions
https://www.lrp.lt/e[...]
[1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 Seimas site
https://e-seimas.lrs[...]
[14]
IFES
Lithuania: Election for President
http://www.electiong[...]
[15]
웹인용
Law on Presidential Elections
http://www3.lrs.lt/p[...]
The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